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다있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다있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8)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28)
가로족 알아보기

가로족 (Garo족)은 서쪽 앗삼의 티벳, 버아머족인 보트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종족을 말합니다. 티벳, 부턴으로부터 이동하여 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벼와 목화를 화전이동경작하며 토지는 공유하고 천변에 동리를 이루고 나무 위에 집을 짓고 삽니다. 가로족은 여러 갈래의 종족으로 나뉘어 모계외혼씨족으로 포족을 이룹니다. 종교는 이니미즘이며 종족은 22만여명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4. 7. 13:23
가로수란 무엇인가

도시의 미관과 위생을 위하여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어 놓은 나무를 가로수라고 합니다. 거친 거리에 풍치를 더하고 먼지와 더위를 막으며 공기를 깨끗이 하는 데 있어서 도시에는 없지 못한 것입니다. 근데 도시의 계획에 있어서는 폭을 넓히고 인도와 차도를 구별하여 차도의 양쪽에 2줄로 심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이 가로를 특히 넓게 하여 궤도, 차도, 인도, 소풍도 등을 각각 구별하여 4줄의 가로수를 심는 수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나무를 심고 그 밑에 얕은 둑을 만들어 잔디를 심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와 같이 가로수를 필요로 하는 도로에 있어서는 될 수 있는 한 전주나 가공선을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가로수는 그 지방의 풍토에 적응하여 빨리 자라는 나무라야 하..

카테고리 없음 2017. 4. 6. 18:18
가로림만 정의

충청남도 서안상에 돌출된 태안반도 중에 있는 만을 가로림만이라고 합니다. 천수만의 반대측에 위치합니다. 부근해안에서 성행되는 어업의 중심지로 굴과 김 등의 양식법이 성합니다. 연안 일대는 산란장으로 적합하여 봄과 여름에는 제주난류의 북상에 따라 많은 난해성어족이 모여듭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4. 5. 14:40
가로의 정의

시가지 내의 도로를 가로라고 합니다. 지방도로의 대입니다. 근대 산업의 비상한 발달과 인구의 급격한 집중의 결과 도시의 경제조직이 극히 복잡하여짐에 따라 더욱 중요성을 띠게 되었습니다. 도시의 교통을 지배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위생, 보안, 미관 등에 관해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통안전을 위해서 차도와 보도로 구별되며 그 중요한 정도에 따라 간선가로, 보조선가로, 구획가로, 소로 등으로 나뉘고 그 목적에 따라 주택가로, 상업가로, 공업가로, 가로수도로, 공원도로 등으로 나뉩니다. 이러한 도시의 도로는 마치 인체 내의 혈관과 같이 뻗어나가 대동맥과 같은 간선도로로부터 순차로 갈라져 부조선가로 구획가로가 되고 하나의 뒷골목으로 빠지는 계통을 이룹니다. 이와 같은 가로의 계통을 가로계통이라고..

카테고리 없음 2017. 4. 4. 21:32
가례원류속목과 가례집람 정의

가례원류속목이란 유제가 이조 숙종 37년인 1711년에 편찬한 가례원류의 보유판을 말합니다. 왕가의 예에 관한 부분을 별책으로 만들어 속간한 책입니다. 모두 2권 1책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가례집람이란 주희의 가례에 관한 제가의 설을 편집한 책입니다. 김장생편을 말하는데, 그중 1권에는 도설을 기재하여 열람에 편하게 하였습니다. 효종 10년인 1659년에 편성하고 숙종 11년인 1685년에 간행하였으며 모두 2권 6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4. 3. 14:00
가례중해와 가례집고의 정의

가례중해란 이의조가 지은 책을 말합니다. 편자의 부친이 일찌기 주희의 가계를 대본으로 하여 고금의 예설을 수집해놓았던 것을 편자가 다시 정교사여 이조 정조 16년인 1792년에 간행하였습니다. 중해라 함은 더 하고 풀어썼다는 뜻입니다. 한편 가례집고란 가례본문을 본바탕으로하고, 고금의 경전, 자, 사, 패림, 소설 등에서 여러가지 설례를 취하여 축단삽록한 책입니다. 이조 순종 원년인 1907년에 김종후가 편찬하고 그의 제자 임육등이 이를 간행하였습니다. 모두 8권 8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4. 2. 13:21
가례원류시말의 정의

숙종때 의 서문을 인하여 일어난 당파 싸움을 가례원류시말이라고 합니다. 부제학 유계가 를 편찬하여 제자 윤증에게 주었는데 그 후 유제의 손자 상기가 이것을 간행코자 할 때 윤증이 주지 않아 초본으로 간행하였습니다. 이때 권상하가 윤증의 배사를 서문에 기재하자 문제화된 것입니다. 소론은 윤증을, 노론은 유상기를 시인하고 싸웠는데 다시 윤증과 송시열의 사제지간에 배사한 것을 트집잡아 숙종 42년(1716)에는 윤증 부자의 관작을 추탈하고 유선지 문집을 없앴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4. 1. 16:03
가례원류란 무엇인가

가례원류란 이조 숙종 37년에 유재가 지은 책입니다. 주희가 쓴 가례의 본문을 강으로 삼고 널리 의례, 주례, 대례 등의 경전을 참고하여 이를 이라 하고 후세 제유의 예의지설을 받아들여 라 하여 고래예설의 본원과 분류를 밝혀 알 수 있도록 엮은 책 입니다. 당시 편자 유계의 손자 상기가 용담현령으로 있을 때에 좌상 이이명이 숙종께 품하여 도의 연금을 얻어 상기로 하여금 간행하게 하였습니다. 모두 2권 6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3. 31. 18:04
가구 디자인의 종류

가구의 디자인은 오늘날 양식디자인과 현대디자인으로 구분됩니다. 전자는 근세까지의 시대별 양식을 답습한 것이고 후자는 자유롭게 그러면서도 엄격한 법칙에 의하여 창안된 새 가구입니다. 현대가구의 제작은 제 1차대전 후의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특히 도이취의 바우하우스의 공적이 큽니다. 또한 브로이야는 가구의 옳은 형태를 실험적으로 탐구하여 새로운 재료 및 기술을 종합하여 모던 디자인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르꼬르뷰지에, 레리앙 등과 함께 새로운 가구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티트완 시스템을 채택한 가구의 제안은 오늘날 가구에 대한 상식으로 되어가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아르트, 영국의 랏셀, 티그 등은 현존하는 모던 디자인계의 거장들입니다. 제2차 대전 후 가구 디자인의 중심은 신건..

카테고리 없음 2017. 3. 27. 21:23
가구의 기능과 발달 3

가구의 세 가지 기능 중 마지막 하나는 책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리스의 트라페자, 로마의 멘사는 방형, 원형의 식탁으로서 고대에는 책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세에는 류뜨랑이라는 책을 읽는데 편리하게 만드어진 것과, 스크립셔날이라고 하는 글을 쓰는데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2가지가 있었습니다. 전자는 사원, 도서실에 비치되었고, 후자는 이동용 외다리 책상입니다. 식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방형으로서 칼로빙가조 시대부터 사람들은 식탁에서 음식을 먹는 습관을 가져왔다고 합니다. 모든 탁자는 르네상스 이후에 다리 부분의 장식이 시작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실용적인 것으로 되고 더우기 1925년에는 도이취에서 강철로 다리를 만들고 판면을 유리로 만든 것이 생산되어 새로운 현대적 감각..

카테고리 없음 2017. 3. 26. 16:11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가로회
  • 가론느강
  • 까르노
  • 가공무역
  • 침대와 의자의 기능과 발달
  • 가로족
  • 가로림만
  • 가과
  • 가구의 정의
  • 가례원류시말
  • 가구 디자인의 종류
  • 가례집고
  • 가로팔로
  • 가교봉도
  • 가루비누
  • 가뢰
  • 까르꼬
  • 빤따그류엘
  • 까르낙
  • 가교
  • 가례원류속목
  • 까르까손느
  • 까르노 니콜라스 사디
  • 가공우유
  • 가구의 기능과 발달
  • 가루이자와
  • 가례중해
  • 레볼레 소설
  • 가례집람
  • 가르간뜌아
more
«   2025/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