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미관과 위생을 위하여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어 놓은 나무를 가로수라고 합니다. 거친 거리에 풍치를 더하고 먼지와 더위를 막으며 공기를 깨끗이 하는 데 있어서 도시에는 없지 못한 것입니다. 근데 도시의 계획에 있어서는 폭을 넓히고 인도와 차도를 구별하여 차도의 양쪽에 2줄로 심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이 가로를 특히 넓게 하여 궤도, 차도, 인도, 소풍도 등을 각각 구별하여 4줄의 가로수를 심는 수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나무를 심고 그 밑에 얕은 둑을 만들어 잔디를 심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와 같이 가로수를 필요로 하는 도로에 있어서는 될 수 있는 한 전주나 가공선을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가로수는 그 지방의 풍토에 적응하여 빨리 자라는 나무라야 하..
시가지 내의 도로를 가로라고 합니다. 지방도로의 대입니다. 근대 산업의 비상한 발달과 인구의 급격한 집중의 결과 도시의 경제조직이 극히 복잡하여짐에 따라 더욱 중요성을 띠게 되었습니다. 도시의 교통을 지배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위생, 보안, 미관 등에 관해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통안전을 위해서 차도와 보도로 구별되며 그 중요한 정도에 따라 간선가로, 보조선가로, 구획가로, 소로 등으로 나뉘고 그 목적에 따라 주택가로, 상업가로, 공업가로, 가로수도로, 공원도로 등으로 나뉩니다. 이러한 도시의 도로는 마치 인체 내의 혈관과 같이 뻗어나가 대동맥과 같은 간선도로로부터 순차로 갈라져 부조선가로 구획가로가 되고 하나의 뒷골목으로 빠지는 계통을 이룹니다. 이와 같은 가로의 계통을 가로계통이라고..
가례중해란 이의조가 지은 책을 말합니다. 편자의 부친이 일찌기 주희의 가계를 대본으로 하여 고금의 예설을 수집해놓았던 것을 편자가 다시 정교사여 이조 정조 16년인 1792년에 간행하였습니다. 중해라 함은 더 하고 풀어썼다는 뜻입니다. 한편 가례집고란 가례본문을 본바탕으로하고, 고금의 경전, 자, 사, 패림, 소설 등에서 여러가지 설례를 취하여 축단삽록한 책입니다. 이조 순종 원년인 1907년에 김종후가 편찬하고 그의 제자 임육등이 이를 간행하였습니다. 모두 8권 8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가구의 디자인은 오늘날 양식디자인과 현대디자인으로 구분됩니다. 전자는 근세까지의 시대별 양식을 답습한 것이고 후자는 자유롭게 그러면서도 엄격한 법칙에 의하여 창안된 새 가구입니다. 현대가구의 제작은 제 1차대전 후의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특히 도이취의 바우하우스의 공적이 큽니다. 또한 브로이야는 가구의 옳은 형태를 실험적으로 탐구하여 새로운 재료 및 기술을 종합하여 모던 디자인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르꼬르뷰지에, 레리앙 등과 함께 새로운 가구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티트완 시스템을 채택한 가구의 제안은 오늘날 가구에 대한 상식으로 되어가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아르트, 영국의 랏셀, 티그 등은 현존하는 모던 디자인계의 거장들입니다. 제2차 대전 후 가구 디자인의 중심은 신건..
가구의 세 가지 기능 중 마지막 하나는 책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리스의 트라페자, 로마의 멘사는 방형, 원형의 식탁으로서 고대에는 책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세에는 류뜨랑이라는 책을 읽는데 편리하게 만드어진 것과, 스크립셔날이라고 하는 글을 쓰는데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2가지가 있었습니다. 전자는 사원, 도서실에 비치되었고, 후자는 이동용 외다리 책상입니다. 식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방형으로서 칼로빙가조 시대부터 사람들은 식탁에서 음식을 먹는 습관을 가져왔다고 합니다. 모든 탁자는 르네상스 이후에 다리 부분의 장식이 시작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실용적인 것으로 되고 더우기 1925년에는 도이취에서 강철로 다리를 만들고 판면을 유리로 만든 것이 생산되어 새로운 현대적 감각..
- Total
- Today
- Yesterday
- 가로회
- 가론느강
- 까르노
- 가공무역
- 침대와 의자의 기능과 발달
- 가로족
- 가로림만
- 가과
- 가구의 정의
- 가례원류시말
- 가구 디자인의 종류
- 가례집고
- 가로팔로
- 가교봉도
- 가루비누
- 가뢰
- 까르꼬
- 빤따그류엘
- 까르낙
- 가교
- 가례원류속목
- 까르까손느
- 까르노 니콜라스 사디
- 가공우유
- 가구의 기능과 발달
- 가루이자와
- 가례중해
- 레볼레 소설
- 가례집람
- 가르간뜌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